-
반응형
전세만기 후, 한두달만 더 살고 싶을때 방법
보통 입주를 앞두고 있을 경우에
그 신축단지에 입주하는 날이랑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전세만기날이랑
일치하지 않죠.
이럴때가 참 애매합니다.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① 첫째는 집주인이 현재 살고 있는 전세집에 실거주로 들어올 경우엔,
만기날에 집을 비워주고 나가야 됩니다
- 이때에는 단기임대로 지낼 곳을 알아보거나
- 이삿짐보관 서비스 쪽으로 짐을 맡기고, 일단 부모님네나 친척네 가서 좀 머무는 경우가 있습니다.
② 두번째는 집주인이 또 전세를 계속 줄 생각일 경우엔
집주인에게 말해서 몇달 더 살겠다고 요청을 해봅니다
- 물론, 그 기간 만큼의 월세를 내던가 해서
어느정도 비용을 지불해야죠.
- 특이하게 집주인이 그냥 몇달 더 살다 가시라고~ 할때도 있습니다^^
어쨌든
결론은
이사는 상당히 여러사람이 얽힌 문제입니다.
내가 다른 곳으로 가면
내가 빠진 자리에 또 새로운 사람이 오고
그 새로운 사람도 나와같은 상황으로 올테고
이런식으로 물리고 물린 상황이니까요.
그 모든게 사람이 하는 일이니
너무 각을 세우며 하지도 말고
너무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하지도 말고
적절히 서로의 입장을 잘 헤아리고
합당한 이해조건이 잘 맞물리게
해나가보시길
추천드립니다.출처 : https://blog.naver.com/tkos3333/222703288679
전세만기 후, 한두달만 더 살고 싶을때 방법. 임차인과 임대인의 입장차이.
안녕하세요, 공돌이아재 타키온입니다. 보통 입주를 앞두고 있을 경우에 그 신축단지에 입주하는 날이랑 내...
blog.naver.com
반응형'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도면 얻는 방법 (집 치수랑 평면도 무료로 구하기) (0) 2022.07.06 화성 동탄1 동탄2 신도시 트램 건설 계획 (0) 2022.07.05 부동산에서의 순자산 총자산 레버리지(대출,보증금) 계산하는 방법 (0) 2022.07.04 청약공부 하는 방법과 청약에 올인하면 안되는 이유 (0) 2022.07.03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면 달라지는 것들 (세금, 대출) (0) 2022.07.02